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2-03-15 15:17:25
기사수정

□ 국회입법조사처(처장 심지연)는 3월 15일(목)에 이슈와 논점 제407호「러시아 대선에서 소셜미디어의 활용과 의미」를 발간하였다.
○ 이 글에서는 2012년 3월 4일 러시아 대선에서 후보자와 유권자의 정치적 소셜미디어 활용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글로벌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국가별 소셜미디어 활용이 가지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 러시아는 중국, 미국, 브라질에 이어 전세계 소셜미디어 이용자 규모 4위인 거대 소셜미디어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상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국가이다.
○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정보제공, 자유로운 의견교환 및 수렴, 네트워크의 확장이라는 소셜미디어의 장점이 폐쇄적인 소셜미디어 사용과 정부의 온라인 동원 등으로 매우 특수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인터넷의 자율성이 훼손되고 있다고 평가된다.
□ 1988년부터 인터넷이 보급된 러시아에서는 페이스북과 유사한 서비스인 VK(vKontakte)와 블로그 플랫폼인 라이브저널(LiveJournal)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들이다.
○ 정부는 적극적인 인터넷 활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블로그 검열이나 감시, 국영미디어에 대한 완전한 통제 때문에 미디어 자유도에 있어서는 매우 낮은 국가로 평가된다.

○ 대통령 후보로서 푸틴은 기본정보만 제공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대한 반응을 적절히 하지 못하는 공급자 중심적인 선거운동을 진행하였으며, 푸틴에 대한 동영상 선거캠페인은 대부분 성적인 의미와 연결되는 것이어서 정치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 러시아 대선에서의 최대 이슈는 선거부정인데, 한 사람이 수차례 반복투표를 하거나 투표결과를 조작하는 문제에 대해 시민사회는 지속적으로 강하게 문제를 제기하였다.
○ 2011년 12월, 러시아 의회선거에서의 선거부정에 대한 비판활동을 하였던 블로거들은 이번 대선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하였으며, 자율적인 시민감시자들이 올린 각 지역의 선거부정 자료는 웹사이트, 구글서비스,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공유되고 확산되었다.
□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정부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시민사회와 소통을 증진시키는 것은 민주주의국가들의 보편적인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인도, 러시아와 같은 거대 소셜 미디어 국가에서의 움직임은 이에 역행하고 있다.
○ 이번 대선에서 정부와 블로그를 중심으로 한 시민사회의 갈등구도는향후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수용적이고 적극적인 러시아 정부의 반응이 요구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할용해주세요.

http://hangg.co.kr/news/view.php?idx=47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리스트페이지_R001
최신뉴스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R003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