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09-04 04:39:25
기사수정
울산시는 석유화학산업단지의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지역 생태계를 조성키 위한 울산지역 맞춤형 R&D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박상기 기자]울산시는 석유화학산업단지의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지역 생태계를 조성키 위한 울산지역 맞춤형 R&D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울산시와 울산테크노파크는 지난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 R&D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이 사업은 지자체가 지역 내 현안 문제의 과학기술적 해결을 위해 스스로 R&D과제를 기획·추진하는 사업이다.


울산시와 울산테크노파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석유화학산업단지의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지역 혁신생태계 조성’을 비전으로, 3대 추진 전략으로는 ‘유해물질 감지센서 기술 및 시스템 확보’ ‘실시간 모니터링 플랫폼 구축 및 실증’ ‘지역혁신을 위한 리빙랩 운영’ 등이다.


사는 이를 통해 ‘IoT 센서기반 유해물질 안전대응 플랫폼 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키 위해 향후 최장 3년 동안 39억6000만원이 투입된다.


울산테크노파크는 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달 사업공고를 시작으로 사업설명회 및 사업선정평가위원회를 개최하고, 울산과학기술원을 주관으로 최종 선정했다. 참여기관으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세종공업(주), (주)유안테크, (주)윈정보기술 등이 함께 한다.


울산과학기술원은 1차 년도(2018년 9월~2019년 2월)에 고성능 유해가스 감지센서, 폭발성 가스센서, 통합 신호처리칩 ROIC(Readout Integrated Circuit) 및 모듈 등의 개발과 함께 빅데이터 기계학습 알고리즘 및 종합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프레임웍 설계를 추진한다.


울산테크노파크는 울산시민, 전문가, 사회혁신 조직 등으로 구성된 리빙랩(Living Lab) 운영을 통해 지역의 현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번 사업의 연구개발 결과에 대한 실증, 피드백 및 성과확산에 주력한다.


울산테크노파크 차동형 원장은 “지역의 대학 및 연구개발기관, 기술중소.벤처기업들이 협력해 지역의 주요 현안을 해결하는 데 앞장 서게 됐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할용해주세요.

http://hangg.co.kr/news/view.php?idx=4594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리스트페이지_R001
최신뉴스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R003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