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7-03-23 18:20:41
기사수정

[박봉진 기자]‘정유라 특혜 의혹’이 제기됐던 이화여자대학교가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이하 프라임 사업)’과 ‘평생교육단과대학 지원사업(이하 평단 사업)’에서 부당하게 지원대학으로 선정된 사실이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은 23일 ‘이화여대 재정지원사업 특혜의혹’ 감사 결과, 이화여대가 지원대학으로 선정된 8개 재정지원사업 가운데 프라임 사업과 평단 사업 등 2개 사업에서, “당초 선정대상이 아니었다가 최종 선정된 문제점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감사원은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이나 최순실 씨 관련된 내용은 전혀 나온 것이 없었다”면서, “정유라 입학, 학점 관리와 관련이 있다고 직접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먼저 ‘프라임 사업’과 관련해, 이화여대는 상명대 본교(수도권 2위)에 밀려 탈락 대상(수도권 3위)이었으나, 교육부가 상명대 본교를 합리적 이유 없이 지원 대학에서 제외하면서 지난해 5월 사업 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이화여대는 ‘프라임 사업’으로 2016년에만 55억 원을 지원받았고,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47억 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감사원은 특히 대통령 비서실 교육문화수석실(이하 교문수석실)이 2016년 4월, 법적 근거 없이 ‘본교와 분교가 동시에 선정된 상명대는 하나만 선정하도록 하라’는 의견을 교육부에 제시했고, 교육부가 이에 상명대 본교를 탈락시켰다고 강조했다.

감사원 관계자는 “상명대 본교가 평가 점수가 훨씬 높았는데도, 상명대 분교를 지원 대학으로 선정하면서 이화여대가 지원 대학에 들어갔다”면서, “점수 결과를 다 보고나서 누군가 상명대 분교를 선정하도록 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정원 이동량이라든지, 점수차를 고려해서 하나만 선정해라고 얘기했기 때문에 분교를 선정하게 된 것”이라면서, “진술이 엇갈려, 무슨 의도였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감사원은 이에 해당 사업에 대한 자료를 지난 1월 6일 검찰과 당시 박영수 특별검사에게 보내 추가 수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평생교육단과대학 지원사업'과 관련해서는 사업조건이 까다로워 주요 대학이 참여하지 않자 교육부가 사업조건을 완화해 이화여대 등 4개 대학을 추가 지원대학으로 선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할용해주세요.

http://hangg.co.kr/news/view.php?idx=273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리스트페이지_R001
최신뉴스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R003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